▒디카 자료

니콘 디카 D200 모델

한기종 2006. 5. 29. 12:20
니콘 D200



이미지 센서 23.6×15.8mm 사이즈 원색 CCD, 총화소수 1,092만 화소, 니콘 DX 포맷
파일 포맷 정지 화상 : JPEG, Exif 2.21 준거,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2.0 준거, DPOF(Digital Print Order Format) 준거
기록 해상도 정지 화상 : 3,872 × 2,592 / 2,896 ×1,944 / 1,936 × 1,296
이미지 비율 3:2
압축률 JPEG-Baseline 준거 - 압축율(약):FINE(1/4), NORMAL(1/8), BASIC(1/16), 12 비트 RAW(압축 기록 가능), RAW 와 JPEG 동시 기록 가능
렌즈 마운트 니콘 F 마운트(AF 커플링, AF접점)
호환렌즈 -DX 타입 AF 니코르 : 풀 기능 사용가능 / -D/G 타입 AF 니코르(IX 니코르 제외) : 풀 기능 사용가능 / -PC마이크로니코르 85mm F2.8D : 오토 포커스 및 노출 모드의 일부를 제외한 기능 사용가능 / -D/G 타입 이외의 AF 니코르(F3 AF 용 제외) : 3D-RGB 멀티 패턴 측광, i-T
촬영 화각 35mm 환산, 촬영 화각 렌즈 표기의 약 1.5 배 초점거리 렌즈 상당
AF 방식 오토포커스 : TTL 위상차이 검출 방식, Multi-CAM1000 AF 모듈에 의한 검출, AF 보조광부(약0.5~3m), 검출 범위:EV -1~+19(ISO 100 환산, 상온 20℃)
싱글 영역 AF 모드, 다이나믹 AF 모드, 그룹 다이나믹 AF 모드, 지근 우선 다이나믹 AF 모드
싱글 AF 서보[S], 컨티뉴어스 AF
셔터 전자 제어 상하 주행식 포컬 플레인 셔터
노출 제어 자동프로그램 AE조리개 우선 제어셔터 스피드 우선 제어완전 수동 제어
셔터 스피드 조절 범위 : 30~1/8,000 초(1/3,1/2, 1단 스텝씩 조절 가능), 벌브 셔터 지원
노출 보정 ±5EV(1/3, 1/2, 1 스텝씩)
AE 락 : AE/AF Lock 버튼, 또는 싱글 AF[S]시에 셔터 버튼 반누름으로 가능
오토 브래킷 노출값 브래킷 : 촬영 컷수 2~9컷, 1/3, 1/2, 2/3, 1 스텝씩
화이트 밸런스 브래킷 : 촬영 컷수 2~9컷, 1~3단계
측광 방식 : 3D-RGB 멀티 패턴 측광Ⅱ : D/G 타입 외 CPU 렌즈 사용시 1,005 분할 RGB 센서에 의한 RGB 멀티 패턴 측광Ⅱ, 비CPU 렌즈는 렌즈 정보 수동 설정을 입력하면 1,005 분할 RGB 센서에 의한 RGB 멀티 패턴 측광, EV 0~20
: 중앙부 중점 측광 : (중앙부 약φ8mm 상당, 중앙부 중점도 약 75%, φ6mm,φ10mm,φ13mm로 변경 가능), EV 0~20
: 약φ3mm 상당(전 화면의 약 2.0% 대역), 포커스 영역에 연동, 비CPU 렌즈 약φ3mm 상당(전 화면의 약 2.0% 대역), 포커스 영역에 연동, 비CPU 렌즈
ISO 감도 - : ISO 100~1600(1/3,1/2, 1 스텝), ISO 1600에서 최대 약 1단계 증폭 가능
화이트 밸런스 : 오토(1,005 분할 RGB 센서, 촬상 소자 병용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 매뉴얼 6모드(각각 미조정 가능), 색온도 설정, 커스텀
셀프 타이머 : 전자 제어식, 작동시간:2, 5, 10, 20초로 설정 가능
내장 플래쉬 - : 수동 pop-up 방식
플래쉬 조광 보정/충전 시간 ±3단 범위에서 1/3, 1/2, 1 스텝 보정 / 스피드 라이트의 1,005 분할 RGB 센서에 의한 TTL 조광제어 - 내장 플래쉬, SB-800 또는 SB-600과 스팟 측광 외 측광 모드의 조합으로 i-TTL-BL 조광가능
내장 플래쉬 연동 범위/가이드넘버 수동 pop-up 방식
가이드 넘버 : 약 12(매뉴얼 최대 발광시 약 13)(ISO100, 20℃)
싱크로 접점 : X 접점(반도체 방식),1/250초 이하 저속 셔터 스피드로 플래쉬와 동조
선막싱크로, 슬로우 싱크로, 후막싱크로, 적목감소,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외장 플래쉬 단자 싱크로 접점, 레디 신호 접점, 모니터 신호 접점, TTL 조광스탑 신호 접점, GND부, 세이프티 락
내장 플래쉬, SB-800, SB-600, SB-80 DX, SB-28 DX, SB-50 DX, SB-28, SB-27, SB-22s 등 사용시에 충전 완료로 점등, 최대 발광에 의한 노출 경고시 점멸
SB-800, SB-600,
촬영 모드 자동프로그램 AE조리개 우선 모드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매뉴얼 모드
연속 촬영 : S:1컷 촬영
: CL(저속 연속 촬영):초당 약 1 ~ 4장
: CH(고속 연속 촬영):초당 약 5장
: Mup:미러 업 촬영
: 셀프타이머 연속 촬영:작동시간 2초, 5초, 20초로 설정 가능
: RAW:약 22, FINE: 약 37, NORMAL:약 54, BASIC:약 57장 (3,872 × 2,592)
뷰 파인더 아이레벨식 펜타 프리즘 일인반사식 파인더
시도 조절 : -2 ~ +1m-1
아이포인트 19.5 mm(-1.0m-1)
파인더 스크린 : B형 클리어매트 스크린Ⅱ(포커스 프레임, 구도용 격자선 표시)
파인더 시야율 : 상하 좌우 약 95%(대 실화면)
파인더 배율 : 약 0.94 배(50m
액정 모니터 2.5인치 저온 폴리 실리콘 TFT 액정, 약 23만 화소, 밝기 조정 가능, 시야각 170˚
리모콘 : 10핀 터미널 리모트 커넥터에 접속(MC-36, MC-30, MC-22, MC-21,MC-23, MC-25, ML-3 등)
저장 매체 컴팩트플래쉬 타입l컴팩트플래쉬 타입ll마이크로드라이브
전송 방식 USB 2.0
입출력 단자 비디오 출력단자(NTSC / PAL), 싱크로 터미널(ISO 519 표준 장비), GPS(D-sub 9핀 케이블, GPS 변환 코드 MC-35(별매)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규격 NMEA 0183 Ver.2.01에 대응한 GPS 기기에 호환
전원 충전식 전용 리튬이온 배터리 EN-EL3e, MH-18a(충전기), MH-19(별매) / 멀티 파워 배터리 팩 MB-D200(별매):리튬이온 충전 배터리 EN-EL3e 1 ~ 2개, AA전지(알카라인, 니켈 수소 충전 배터리, 리튬, 니켈 망간 배터리) 6개 사용 / AC 아답터 EH-6(별매) / ID 프로텍트 리튬?/td>
크기 약 147(W)×113(H)×74(D)mm
무게 약 830g(배터리, 메모리 카드, 바디 캡, 모니터 커버 제외)
그 밖의 기능 문자 입력(액정 모니터와 멀티 셀렉터로 36까지 영, 숫자 입력 가능, Exif 헤더에 포함)
기본 내용물 Li-ion 충전지 EN-EL3e, 급속충전기 MH-18a, USB케이블 UC-E4, 바디캡, 케이블 EG-D100,스트랩 AN-D200,LCD 모니터커버 BM-6, 아이피스캡 DK-5, 러버 아이컵 DK-21 PictureProject CD-ROM(Nikon Capture 4.4 30일 시험판 포함)

   

   안내기


  캐논이 EOS 5D를 화려하게 데뷔시키며 세간의 주목을 받는 동안에도 니콘은 별다른 소식없이 조용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D100의 후속 라인 업 모델인 D200에 대한 소문이 이미 각종 동호회에 공공연하게 회자 되고 있었지만, 니콘의 침묵은 예상보다 길었습니다. 수 개월동안 각종 합성 이미지와 수많은 루머를 남긴 D200이 드디어 니콘의 공식 발표로 최근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니콘 D200은 1,020만 화소를 지원하며 초기 기동시간 0.15초, 초당 5장 연사 등 기계적인 성능이 대폭 개선됐으며, GPS / 무선 랜 기능을 도입해 더욱 폭넓은 유저 층을 수용합니다.

  외관


 

  본체는 마그네슘 합금 재질을 사용했으며 접합부에 실링 처리해 높은 방진, 방습 성능을 갖추었습니다. 부피는 약 147(W)×113(H)×74(D)mm, 무게 약 830g(배터리, 메모리 카드, 바디 캡, 모니터 커버 제외)으로, 세로 배터리 그립을 탈착하는 구조로 제작됐습니다.


  

 


  제품 뒷면 레이아웃은 D100으로부터 이어받고 있으며, 액정 모니터가 2.5인치로 확장됐습니다. 저온 폴리 실리콘 TFT-LCD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는 23만 화소를 지원하며 시야각이 170˚로 촬영한 화상을 편안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촬영한 이미지를 재생할 때 RGB 신호를 일괄 또는 신호별로 표시하는 히스토그램을 제공합니다. 이밖에 하이라이트부의 화이트 홀 표시 기능과 RGB 색 포화 등, 촬영 직후 노출과 색 밸런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CD

  이미지 센서는 23.6 × 15.8mm DX 포맷 CCD를 채택했습니다. 센서 크기는 이전 DSLR 모델과 같은 크기이며, 렌즈 초점거리의 1.5배 환산 규격을 갖습니다.

  화소는 총 1,092만 화소를 지원하며 니콘에서 새로 개발한 수평/수직 2 방향 분리 OLPF(광학 로우패스 필터)를 탑재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모아레와 같은 이상현상을 억제해 더욱 향상된 화질을 제공합니다.
  또, 화상 신호를 4 채널에 걸쳐 받아 들여 촬영한 대용량 화상을 빠르게 처리합니다. 이밖에 니콘의 독자적인 화상 처리 알고리즘을 도입한 화상 처리 엔진으로 화상 처리속도와 계조를 더욱 높였습니다.
 

 


  뷰 파인더

  뷰 파인더는 펜타 프리즘 방식이며, 배율은 약 0.94배입니다. 또, 격자선 표시 기능을 제공해 별도로 스크린 을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줍니다.  

vf(1).jpg

   AF
  D200은 멀티 CAM1000 오토 포커스 모듈을 탑재했으며, 11포인트 멀티 AF 시스템과 7포인트 와이드 에리어 AF 시스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AF는 싱글 에리어 AF / 다이나믹 AF / 근거리 우선 다이나믹 AF / 그룹 다이나믹 AF, 총 4가지 모드를 탑재하고 있으며 촬영 목적에 따라 고정된 피사체부터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까지 정확하게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포맷
  D200은 JPEG와 RAW 데이타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RAW 포맷으로 촬영한 이미지 파일은 *.NEF로 저장되며 12비트 RAW 데이타(촬영당시 화이트 밸런스, 색 밸런스, 색조 등)와 촬영 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라이팅
  니콘의 조광성능은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D200도 이전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외장 플래쉬인 SB-800, SB-600으로 i-TTL조광, 어드밴스트 무선 라이팅, FV락, 발광 색온도 전달 기능 등 니콘 크리에이티브 라이팅 시스템에 호환합니다.

  무선 랜 / GPS
  무선 랜 기능은 2006년 여름 발매를 위해 개발 중인 무선 송신기 WT-3(2006년 여름 발매 예정)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보다 다양한 모델에 무선 전송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니콘의 배려가 깔려있는 기능입니다. 무선 데이타 송수신 규격은 IEEE802.11 b/g이며 이를 통해 사진 이미지와 같은 데이타를 무선 LAN으로 전송합니다. IEEE802.11 b/g 규격은 폭넓은 네트워크와 보안 프로토콜에 호환해 다양한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니콘의 고급기종에는 GPS 기능이 첨가돼 있습니다. D200에도 GPS 기능이 채택 됐는데, NMEA0183(Ver.2.01) 인터페이스 규격에 호환하며 9핀 D-sub 케이블을 이용해 GPS 기기에 접속하면, 촬영시 위도, 경도, 표고,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협정 세계시)가 화상에 기록됩니다.

  측광
  D200은 1,005 분할 RGB 센서를 탑재했습니다. 또한, D2x로부터 이어받은 3D멀티 패턴 측광 II를 도입해 플래그 쉽 모델과 동일한 측광 정밀도를 지원합니다. 3D멀티 패턴 측광 II는 명도, 색, 포커스 영역 및 촬영 거리와 같은 정보를 실제 사진을 바탕으로 해석한 데이타베이스로 평가, 신뢰성 높은 노출값을 신속하게 결정합니다.

  이밖에 측광모드로 화면 중앙부의 약 75% 영역에 중점을 두어 노출치를 결정하는 중앙부 중점 측광, 11포인트 AF 시스템과 7포인터 광역 AF시스템에 모두 적용 가능한 스팟 측광이 있습니다.

  기동시간
  초기 기동시간도 더욱 빨라져 전원을 켜면 약 0.15초만에 촬영준비를 마칩니다. 또, 셔터 릴리즈 타임 랙 약 0.05초 , 파인더 블랙 아웃 타임 역시 약 0.105초를 실현했습니다.

  셔터, 셔터 스피드
 D200의 셔터는 전자 제어 상하 주행식 포컬 플레인 셔터를 사용하며, 10만 회를 넘는 릴리즈 테스트를 통해 고정밀, 고내구성을 실현했습니다. 셔터 스피드는 D70시리즈와 같은 30 ~ 1/8,000초를  지원하며 벌브셔터도 사용가능합니다.

  연사
  연사는 초당 5장, 최대 54장까지 촬영 가능합니다. 특히 RAW 연사시에도 최대 22장까지 촬영할 수 있어 스포츠 촬영 등에 유용합니다.(SanDisk SDCFX(Extreme III), SDCFH(Ultra II) 1GB CompactFlash 카드 사용시)

  배터리
  D200의 전원으로 기존 EN-EL3 배터리를 더욱 개선한 EN-EL3e를 사용합니다.1번 충전으로 약 1,800가량 촬영 가능하며 액정 모니터에 배터리 잔량(%), 충전 후 촬영 회수, 열화도를 표시해 전원를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 확장 배터리 팩 MB-D200(별매)이 옵션으로 제공돼 AAA형 알카라인 배터리 6개 또는 EN-EL3e 2개를 수납할 수 있어 오랜 촬영 스케쥴을 지탱해줍니다. 게다가 커맨드 다이얼, 셔터 버튼, AF버튼이 배치돼 세로 구도로 촬영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캐논 EOS 5D의 등장으로 유저들의 35mm 풀 프레임 이미지 센서에 대한 기대치가 매우 높아져 있습니다. 니콘 D200에 대한 소문이 돌 때에도 '혹시'하는 유저들의 바램이 있었지만 아쉽게도 니콘의 1:1 이미지 센서는 후일을 기약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측광 / 포커스 / 이미지 처리 등 기본적인 사양을 확실히 보강하고 있는 니콘의 행보는 남다른 신뢰감을 주고 있습니다. 제품 출시는 현재 일본에서 12월 16일로 예정돼 있으며, 공식적인 가격은 아직 공개돼지 않았지만 유럽지역에서는 1,940유로 전후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출처 : http://www.nikon-image.com, dpreview.com>